DEV ℧ Developer Diary

[Refactoring] 냄새 12. 반복되는 switch 문

해당 포스트는 inflearn의 백기선님의 강의인 리팩토링 을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
냄새 12. 반복되는 switch 문

  • 예전에는 switch 문이 한번만 등장해도 코드 냄새로 생각하고 다형성 적용을 권장했다.
  • 하지만 최근에는 다형성이 꽤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,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보다 세련된 형태의 switch 문을 지원하고...

[Refactoring] 냄새 11. 기본형 집착 (2)

해당 포스트는 inflearn의 백기선님의 강의인 리팩토링 을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
냄새 11. 기본형 집착 (2)

리팩토링 32. 조건부 로직을 다형성으로 바꾸기

  • 복잡한 조건식을 상속과 다형성을 사용해 코드를 보다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.
  • swich 문을 사용해서 타입에 따라 각기 다른 로직을 사용하는...

[Refactoring] 냄새 11. 기본형 집착 (1)

해당 포스트는 inflearn의 백기선님의 강의인 리팩토링 을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
냄새 11. 기본형 집착 (1)

  • 애플리케이션이 다루고 있는 도메인에 필요한 기본 타입을 만들지 않고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본타입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.
    • 예) 전화번호, 좌표, 돈, 범위, 수량 등
  • 기본형으로는...

[Refactoring] 냄새 10. 데이터 뭉치

해당 포스트는 inflearn의 백기선님의 강의인 리팩토링 을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
냄새 10. 데이터 뭉치

  • 항상 뭉쳐 다니는 데이터는 한 곳으로 모아두는 것이 좋다.
    • 여러 클래스에 존재하는 비슷한 필드 목록
    • 여러 함수에 전달하는 매개변수 목록
  • 관련 리팩토링 기술
    • “클래스...

[Refactoring] 냄새 9. 기능 편애

해당 포스트는 inflearn의 백기선님의 강의인 리팩토링 을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
냄새 9. 기능 편애

  • 어떤 모듈에 있는 함수가 다른 모듈에 있는 데이터나 함수를 더 많이 참조하는 경우에 발생한다.
    • 예) 다른 객체의 getter를 여러개 사용하는 메소드
  • 관련 리팩토링 기술
      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