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EV ℧ Developer Diary

[JPA] 준영속

해당 포스트는 인프런 김영한님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- 기본편 을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
준영속

영속상태는 persist 뿐만 아니라 find와 같은 엔티티를 가져올 때도 영속상태로 엔티티를 가져온다.

  • 영속 -> 준영속
  • 영속 상태의 엔티티가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분리(detach)
  • 영속성 컨텍스트가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못한다....

[JPA] 플러시

해당 포스트는 인프런 김영한님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- 기본편 을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
플러시

영속성 컨텍스트의 변경내용을 데이터 베이스에 반영 보통 데이터베이스에 커밋할때 해당 상태가 이루어진다. 간단하게 말하자면 영속성 컨텍스트의 변경사항과 DB를 맞춰주는 역할을 한다.

플러시 발생

  • 변경 감지
  • ...

[JPA] 영속성 컨텍스트의 이점

해당 포스트는 인프런 김영한님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- 기본편 을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
영속성 컨텍스트

영속성 컨텍스트의 이점

  1. 1차 캐시
  2. 동일성(identity) 보장
  3. 트랜잭션을 지원하는 쓰기 지연 (transactional write-behind)
  4. 변경 감지 (Dirty Checking)
  5. 지연 로딩(Lazy Loading)

엔티티 조회,...

[JPA] 영속성 컨텍스트

해당 포스트는 인프런 김영한님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- 기본편 을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
영속성 컨텍스트 (Persistent)

JPA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용어이며, “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” 이라는 뜻이다, JPA를 다루면서 자주 만나게 될 단어이므로 개념을 확실하게 챙겨가도록 하자.

EntityManager.persist(entity); 를...

[JPA] JPA의 간단한 예시

해당 포스트는 인프런 김영한님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- 기본편 을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
JPA를 이용해 간단한 예시를 만들어보자.

프로젝트 환경

  • Spring boot
  • gradle
  • h2 database

gradle

먼저 JPA와 h2 database 관련 의존성을 설정해 줍니다.

<div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