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Theory] Binary Search Tree
11 Mar 2022 algorithm이진탐색트리 (Binary Search Tree)
이진탐색트리란 이진 탐색 트리의 성질을 만족하는 이진트리이다.
- 트리의 각 노드들은 반드시 키 값을 가지고 있고, 키 값은 모두 달라야 한다.
- 왼쪽 서브 트리에 있는 데이터의 키는 그 루트의 키 값 보다 작다.
- 오른쪽 서브 트리에...
이진탐색트리란 이진 탐색 트리의 성질을 만족하는 이진트리이다.
가게도와 같은 계층적인 구조를 표현할 때 사용 할 수 있는 자료구조입니다.
가장 맨 상위에 뿌리(Root)에서 부터 가지를 치며 빠져나가는 구조로 볼 수 있다.
위의 그림을 토대로 트리의 용어와 연결지어 보자.
위의 그림과 같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벌집이 있다.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의 방 1부터 시작해서 이웃하는 방에 돌아가면서 1씩 증가하는 번호를 주소로 매길 수 있다. 숫자 N이 주어졌을 때, 벌집의 중앙 1에서 N번...
여러분도 알다시피 여러분의 프린터 기기는 여러분이 인쇄하고자 하는 문서를 인쇄 명령을 받은 ‘순서대로’, 즉 먼저 요청된 것을 먼저 인쇄한다. 여러 개의 문서가 쌓인다면 Queue 자료구조에 쌓여서 FIFO - First In First Out - 에 따라 인쇄가...
설계에서 중요한것은 각 객체의 의존성(dependency)를 살펴봐라
설계를 진화시키기 위한 출발점은 처음부터 완벽 할 수 없다. 코드 작성 후 의존성 관점에서 점차적으로 설계를 검토하며 개선하자
해당 강의에서는 두가지의 문제와 그에 대한 해결법에 대해 강의하고자 한다.